본문 바로가기
정보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알아보기 (여름 냉방)

by gefmr 2021. 7. 19.

최고 기온이 30도를 넘는 무더운 날들이 이어지며 에어컨을 트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에어컨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지 신경이 쓰이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에어컨은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전기세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에어컨 전기세 절약 방법

 

1. 에어컨과 서큘레이터 혹은 선풍기를 함께 사용

 

에어컨을 틀고 서큘레이터 혹은 선풍기를 함께 쓰면 찬 공기가 순환되며 냉방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특히 공기 순환 목적으로 만들어진 서큘레이터가 선풍기 보다 더 효과적입니다). 에어컨을 틀 때 서큘레이터, 선풍기를 같이 사용한다면 에어컨 설정 온도를 평소보다 높게 해도 같은 시원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에어컨만을 사용할 때보다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에어컨 가동을 멈췄다 켜지 말고 계속 사용

 

에어컨을 껐다 켰다 하는 것보다 계속 틀어놓는 것이 전기세 절감 측면에서 낫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이는 에어컨을 다시 켤 때 소비되는 전력이 많기 때문입니다. 다만 이는 인버터형 에어컨에만 적용되는 것입니다. 정속형 에어컨의 경우는 껐다 켰다 하며 사용하는 것이 나을 수 있습니다. 인버터형 에어컨은 실내 온도에 따라 동작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정속형에 비해 우수합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출시된 에어컨은 인버터 에어컨이 많다고 합니다. 집에 설치된 에어컨이 인버터 에어컨인지 여부는 에어컨에 인버터, Inverter와 같은 말이 적혀있는지 살펴보면 됩니다.

 

 

 

 

3. 에어컨 켤 때 낮은 온도로 시작, 다음에는 26도 이상으로

 

에어컨은 처음 켤 때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데, 이 때 전기세는 실외기 가동 시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합니다. 따라서 처음 에어컨을 켤 때 온도를 낮게 시작해 실내 온도를 빠르게 낮춰주고 다음에는 에어컨 설정 온도를 높여서 실내 온도를 유지되게만 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면 전기세가 절감된다고 합니다.

 

에어컨의 실내 적정 온도는 26도~28도입니다. 에어컨 온도를 26도 이상으로 해도 더위는 어느 정도 사라지므로 설정 온도는 26도 이상으로 하는 게 좋습니다. 에어컨 온도를 2도만 높여도 전기세는 평균 50% 이상 절감된다고 합니다.

 

* 이 글은 '데일리'의 기사를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현금화 방법 살펴보기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현금화 방법 살펴보기

신용카드를 사용하면 결제 금액에 따라 포인트가 적립되는데, 이를 모르고 넘어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카드 포인트는 사용하는 데 유효기간이 있어 시간이 지나면 소멸됩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globalreport.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