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카카오 2분기 주가 강세 기록
올해 발생한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언택트 관련주들이 주목을 받았고, 이들 종목의 주가는 2분기에 강력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네이버(NAVER), 카카오와 같은 국내 포털 업체들은 특히 상승세가 두드러졌는데, 네이버의 경우 2분기에 약 57% 올랐고, 카카오는 약 72% 상승했습니다.
3분기 주가 전망은?
7월 들어서는 초반에 상승세를 이어가다 조정을 보이고 있는데, 이제 시선은 남은 3분기 동안의 주가 전망에 모이고 있습니다. 3분기에 호재와 악재가 상존하는 관계로 주가 전망에 있어 불확실성이 높습니다. 이 글에서는 남은 3분기 동안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가 어떤 흐름을 보일지 3가지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각각의 확률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시나리오 1 (확률: 50%)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가 당분간 횡보 혹은 조정 흐름을 보이다 3분기 안에 다시 상승세를 시작하는 경우입니다. 네이버의 경우 막강한 인터넷 검색 광고 지배력을 지닌 가운데, 네이버 쇼핑, 페이의 성장 잠재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의 메신저 시장 지배력이 견고한 가운데, 모빌리티, 카카오페이 부문의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다만 이들 종목이 단기간에 급등한 관계로 단기적으로는 쉬어가는 흐름이 나올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미중 갈등이 다시 심해지는 것도 부담 요인입니다. 그럼에도 네이버, 카카오의 중장기 실적 성장 전망이 밝기 때문에 주가 하락 시 저가에 매수하려는 자금이 상당히 유입될 수 있습니다. 이는 주가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최근 네이버의 경우 26만원, 카카오의 경우 30.5만원 부근에서 지지를 받았는데, 앞으로 이 지점만 크게 이탈하지 않는다면 다시 상승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됩니다.
미중 갈등의 경우 올해 11월 미국 대선을 앞두고 있어 2019년과 같이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생각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을 위해서는 경제, 증시 상황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2. 시나리오 2 (확률: 30%)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가 3분기 동안 박스권 내에서 등락하는 경우입니다. 이들 종목의 높은 성장 잠재력에도 그동안의 강력한 랠리로 고평가 논란이 부각되며 주가가 크게 오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중 갈등, 코로나 재유행 우려 등과 같은 이슈가 한국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줄 때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도 같이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네이버와 카카오 주가는 방향성 없이 박스권 안에서 움직일 수 있습니다.
3. 시나리오 3 (확률: 20%)
네이버, 카카오의 주가가 1차 지지선(네이버: 26만원 부근, 카카오: 30.5만원 부근)을 하방 이탈하고 추가 하락하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2차 지지선은 네이버의 경우 24만원 부근이고, 카카오의 경우 27.5만원 부근이라고 생각됩니다. 미중 갈등 혹은 글로벌 코로나 사태가 예상보다 심각해지거나 그 외 예상치 못한 악재가 발생하여 코스피 지수가 급락하는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시나리오입니다.
* 상기 글은 투자 판단의 참고 자료일 뿐이며,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이 글의 내용은 주관적 견해로 실제 결과는 이와 다를 수 있습니다.
'금융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피 전망 - 2021년 2월 한국 증시 시나리오 분석 (0) | 2021.02.02 |
---|---|
코스피 전망 - 하반기 한국 증시 박스권 흐름 이어지나? (0) | 2020.09.07 |
코스닥 전망 - 2020년 3분기 시나리오 분석 (0) | 2020.07.17 |
전기차 배터리 관련주 3분기 전망 - LG화학, 삼성SDI, 포스코케미칼 (0) | 2020.07.14 |
미국 증시 전망 - 2020년 3분기 시나리오 (S&P 500, 나스닥) (0) | 2020.07.10 |
댓글